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쉐어봇 스노우화이트, SHAREBOT SLS 3D프린터 SnowWhite #HT #SLS #Sharebot #쉐어봇

Scientific Publications (과학 논문)

1. Selective Recovery of Gold from Electronic Waste Using 3D-Printed Scavenger

전자 폐기물에서 3D 프린팅 흡착제를 이용한 금 선택적 회수

  • 연구 기관: University of Jyväskylä, Finland

  • 요약: 전자폐기물에서 금을 회수하기 위해 나일론-12 기반 3D 프린팅 흡착체를 제작, 단순하고 효과적이며 선택적인 금 회수 가능성을 입증. 배치 및 연속 흐름 공정 모두에서 활용 가능.

2. Scaling up colloidal surface additivation of polymer powders for laser powder bed fusion

레이저 파우더 베드 융합을 위한 고분자 분말의 콜로이드 표면 첨가 확장

  • 연구 기관: University of Duisburg-Essen, FAU Erlangen-Nürnberg

  • 요약: 고분자 분말에 나노 첨가제를 표면 처리하여 대규모 PBF-LB/P 공정에서 안정성과 분산성을 확보, TPU 및 PA12에서 응용 가능성을 입증.

3. On the Development of Polymer Particles for Laser Powder Bed Fusion via Precipitation

침전을 통한 레이저 파우더 베드 융합용 고분자 입자 개발

  • 연구 기관: FAU Erlangen-Nürnberg

  • 요약: 침전 공정을 활용하여 고분자-용매 시스템 최적화, 입자 크기 및 형태 제어, PBF 공정에 적합한 입자 제조 가능성 검토.

4. Manufacturing Porous Alumina Ceramics Using Selective Laser Sintering

선택적 레이저 소결을 이용한 다공성 알루미나 세라믹 제조

  • 연구 기관: University of Queensland, Australia

  • 요약: PA12 + TiO₂ + Al₂O₃ 분말 혼합 기반으로 복잡한 3D 형상 알루미나 세라믹을 SLS 방식으로 제조. 결합제 소결 온도 최적화 연구.

5. Interfacial stereocomplexation in heterogeneous polymer powder formulations for reinforcing (laser) sintered welds

이종 고분자 분말 조성에서 계면 입체복합화를 통한 소결 접합부 강화

  • 연구 기관: Maastricht University, Zuyd University, University of Genova

  • 요약: 고분자-고분자 계면에서 입체복합화를 통해 소결 용접부의 응력 전달 개선. 분자 설계와 입체결정화 속도에 따른 물성 변화 분석.

6. In-situ synthesis of Metal Organic Frameworks (MOFs)-PA12 powders and their laser sintering into hierarchical porous lattice structures

MOF-PA12 분말의 인-시투 합성과 위계적 다공성 격자 구조로의 레이저 소결

  • 연구 기관: University of Exeter, UK

  • 요약: PA12 표면에 MOF(ZIF-67) 결정 형성, CO₂ 흡착 성능 강화된 레이저 소결 부품 제조. 건강 및 안전 문제를 줄이면서 균질한 분산 확보.

7. Gold Nanoparticles on 3D-Printed Filters: From Waste to Catalysts

3D 프린팅 필터 위 금 나노입자: 폐기물에서 촉매로

  • 연구 기관: University of Jyväskylä, University of Eastern Finland

  • 요약: PA12 기반 3D 프린팅 필터에 금 나노입자를 고정화하여 폐수 정화 및 촉매 반응에 응용. 입자 크기 평균 약 20nm.

8. Development of Polyoxymethylene Particles via the Solution-Dissolution Process and Application to the Powder

Bed Fusion of Polymers

용액-해리 공정을 통한 폴리옥시메틸렌 입자 개발 및 PBF 적용

  • 연구 기관: FAU Erlangen-Nürnberg

  • 요약: 적합한 용매 시스템을 기반으로 POM 입자 제조, 입자 형태 및 물리적 특성 제어. PBF 공정에 적용 가능성 검증.

9. Selective laser sintering of polyamide 12/flame retardant compositions

폴리아미드 12/난연제 조성의 선택적 레이저 소결

  • 연구 기관: IMT Mines Alès, France

  • 요약: PA12에 난연제를 첨가하여 가공성 및 난연 성능 평가. 난연제 종류에 따라 소결 과정에서 결정화와 물성이 달라짐.

10. Innovative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conductive hybrid composites for Selective Laser Sintering

전도성 하이브리드 복합소재 개발을 위한 혁신적 접근 (SLS)

  • 연구 기관: Politecnico di Torino, Italy

  • 요약: PA12 + 탄소섬유 + 흑연 복합 분말 기반 전도성 복합소재 제조. 전기 전도성과 기계적 특성 평가.

1. Recovery of 17β-Estradiol Using 3D Printed Polyamide-12 Scavengers

초록 (ABSTRACT):

지난 수십 년 동안 내분비 교란 화합물(endocrine-disrupting compounds)은 환경적 영향과 사용 증가로 인해 활발히 연구되어 왔습니다. 실제 호르몬, 특히 에스트로겐은 폐수 내 호르몬 폐기물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밝혀졌습니다. 폐수 처리 시설은 호르몬 화합물을 처리하는 능력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환경으로 다량의 유해 물질이 배출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17β-에스트라디올(E2)과 같은 에스트로겐을 폐수에서 제거하기 위해 3D 프린팅된 폴리아미드-12(PA12) 다공성 흡착 필터를 이용한 간단한 기술을 소개합니다.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3D 프린팅을 통해 접근 가능한 기능성 그룹을 가진 다공성 PA12 필터가 제작되었습니다. 흡착 및 탈착 특성은 불꽃 이온화 검출기를 갖춘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해 연구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E2의 거의 정량적 제거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이 3D 프린팅 필터는 효율성을 잃지 않고 재생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재생 과정에서 E2는 화합물을 손상시키지 않고 필터로부터 추출될 수 있었습니다. 이로써 이러한 호르몬 흡착 필터를 단순한 제거 수단을 넘어, 초미량의 E2를 포함한 환경 시료의 농도 분석 도구로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2. Preconcentration and speciation analysis of mercury: 3D printed metal scavenger-based solid-phase extraction followed by analysis with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초록 (ABSTRACT):

메틸수은(MeHg)과 무기수은(iHg)의 전농축 및 종(speciation) 분석을 위해 나노그램 수준(ng L⁻¹)의 천연수 시료에서 적용 가능한 선택적 방법이 개발되었습니다. 이 방법은 3D 프린팅된 금속 흡착체를 활용한 고상 추출(solid-phase extraction)과, 산성 티오요소 용액을 이용한 연속 용출 과정을 포함하며,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ICP-MS)으로 최종 분석이 이루어집니다.

실험 변수로는 시료 매트릭스, 유속이 흡착에 미치는 영향, 용출 조성, 용출 부피 등이 연구되었습니다. 검출 한계는 MeHg의 경우 0.05 ng L⁻¹, iHg의 경우 0.08 ng L⁻¹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공인된 지하수 참조물질(ERMC-AE615)과 비교하여 방법의 정확성이 검증되었습니다.

실제 시료 분석에서는 MeHg 농도가 0.18–0.24 ng L⁻¹, iHg 농도가 0.50–0.62 ng L⁻¹ 범위로 측정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개발된 3D 프린팅 흡착체 기반 방법이 단순하면서도 매우 민감하여, 초미량 수은 분석과 종(speciation) 구분을 위한 강력한 도구임을 보여주었습니다.

3. Laser sintering of coated polyamide 12: a new way to improve flammability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소결(LS)에 적합한 폴리아미드 12 분말 표면에 카올린 및 탈크 입자를 코팅하는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주사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CMC)를 표면 개질제로 사용하면 충전제가 중합체 입자 표면을 6~16% 범위의 비율로 고르게 피복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시차 주사 열량측정(DSC) 결과, 탈크와 카올린 첨가는 PA12의 결정화 온도를 상승시켰으나 가공성은 떨어뜨렸습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코팅 분말을 활용한 LS 샘플 제조를 위해 공정 변수를 최적화했습니다. 콘 칼로리미터 시험을 통한 난연성 평가에서는, CMC의 사용이 열 방출률 피크를 크게 낮추는 효과를 보였으며, 이는 CMC의 카복실기와 폴리아미드의 아민 말단 간 아미드 결합 형성이 복합 점도 증가로 이어진 결과로 해석됩니다.

4. Fire Behavior of Polyamide 12/Rubber Formulations Made by Laser Sintering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소결(LS) 공정으로 제작된 PA12/고무 블렌드의 가공성 및 화재 거동을 연구했습니다.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다른 세 종류의 부타디엔 고무(NBR)와, 카복실화된 고무를 사용했습니다.

분석 결과, 카복실화된 고무의 혼합물은 분말 유동성이 우수했고, LS 공정에서 이종 AN 함량 고무는 분말층의 다공성과 유동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PA12에 고무를 첨가하면 결정화 및 용융 온도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카복실화 고무를 포함한 조성물은 열 방출률 피크가 45~65%까지 감소하여 난연성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대부분의 샘플은 난연 지수(FRI) 기준에서 “우수(Good)”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PA12와 NBR 간의 아미드 결합 형성이 공정 중 복합 점도 증가를 유발했음을 시사합니다.

5. Separating critical elements from a NdFeB magnet with aminophosphonic acid functionalised 3D printed filters and their detailed structural characterisation with X-ray tomography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폴리아미드(PA) 나일론-12를 70 wt% 함유한 3D 프린팅 필터에 30 wt%의 상용 아미노포스포닉산 기능화 수지(Lewatit TP260) 또는 합성된 아미노포스포닉산 첨가제를 도입하여 NdFeB 자석 폐기물로부터 희토류 원소(REEs)를 분리하기 위한 가능성을 평가했습니다.

분리 실험에 앞서, 자석은 10 v/v% 메탄술폰산(MSA) 용액에서 5 g/l 비율로 20시간, 60℃ 조건에서 침출(leaching)되었습니다. PA-TP260 필터는 연구된 pH 범위(0.15–4.00)에서 전이 원소 및 주족 원소보다 희토류 원소를 더 효율적으로 흡착했으며, 더 높은 흡착 용량을 나타냈습니다.

Fe는 선택적으로 침출액에서 제거되었고, 잔여 원소들은 고상 추출(solid-phase extraction)에 의해 네 개의 분획으로 나뉘어 분리되었습니다: REEs, B; Co; Cu; Al. PA-TP260 필터는 50회 이상의 흡착–탈착 사이클에서도 성능 저하나 구조적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X선 단층촬영 연구 결과, PA-TP260 필터는 강건하며 완전히 재사용 가능함을 확인했습니다. 전체적으로, 이 고도로 다공성인 3D 프린팅 필터는 NdFeB 자석 침출액으로부터 중요한 원소들을 효율적으로 분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MSA, 염화암모늄, 옥살산칼륨 등 친환경적 시약만으로도 적용 가능함을 입증했습니다.

6. Monotonic and cyclic compressive performance of self-monitoring MWCNT/PA12 cellular composites manufactured by selective laser sintering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와 폴리아미드 12(PA12)로 제조된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육각 벌집 구조(HHSS)의 기계적·압전 특성을 단조 및 반복 압축 하중 조건에서 실험적으로 조사했습니다.

상대 밀도 20%, 30%, 40%의 HHS가 3D 프린팅되었으며, PA12에 0.3 wt%의 MWCNT가 혼합되었습니다. 순수 PA12 HHS보다 MWCNT/PA12 HHS는 낮은 기공률과 더 우수한 기계적 성질(붕괴 강도, 탄성 계수, 에너지 흡수 등)을 보였으며, 특히 상대 밀도 30%와 40%에서 높은 성능을 나타냈습니다.

PA12 HHS의 특정 에너지 흡수는 상대 밀도 40%에서 24 J g⁻¹까지 도달했습니다. 또한 MWCNT/PA12 HHS는 최대 53%까지 우수한 에너지 흡수 효율을 보여주었으며, 변형률 감지 능력도 탁월하여 게이지 팩터 25까지 달성했습니다. 반복 하중 시험에서는 손상이 누적됨에 따라 영하중 저항(zero-load resistance)이 점차 증가하여, 이 복합재가 스마트 경량 구조물에 응용될 가능성을 강조했습니다.

7. Selective laser sintering for printing bilayer tablets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공정을 활용해 로수바스타틴과 아세틸살리실산(ASA)을 함유한 2층(bilayer) 정제를 제작했습니다. 각 층은 서로 다른 레이저 강도로 제조되어, 정제의 용출, 부서짐,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습니다.

최종적으로, 3D 프린팅된 외피를 적용해 두 층을 정확히 위치시키는 새로운 제조법이 도입되었습니다. 결과적으로, 높은 레이저 강도는 더 조밀한 내부 코어를 형성해 경도를 증가시키고, 부서짐을 감소시키며, 약물 방출 속도를 늦췄습니다.

이 새로운 방식은 두 층 정제를 완전히 정렬된 상태로 프린팅할 수 있었고, 각 층의 용출 속도 차이를 통해 약물 방출 제어가 가능함을 보여주었습니다. 본 연구는 다층 약물 전달 시스템에서 SLS 공정의 실용성을 입증했습니다.

8. Recovery of rare earth elements from mining wastewater with aminomethylphosphonic acid functionalized 3D-printed filters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알파-아미노메틸포스포닉산(AMPA) 기능화제를 포함한 나일론-12 기반 3D 프린팅 필터를 활용해 채광 폐수에서 Y, Nd, Dy 및 기타 금속을 회수했습니다.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기공 구조가 헬륨 이온 현미경 및 X-선 단층촬영으로 분석되었으며, 인쇄 후와 흡착 후의 변화가 확인되었습니다. FTIR 분석으로는 흡착 과정에서의 조성 변화를 파악했습니다.

흡착은 pH 1–4 범위에서 수행되었으며, Sc > Fe > U > Y, Nd, Dy > Al, Cu, Zn > K, Ca, Co 순으로 금속 회수 성향이 나타났습니다. pH 2에서의 순차적 회수 과정에서, REE(Sc, Fe, U)는 100% 가까이 회수되었고, Y, Nd, Dy는 >88% 회수되었습니다.

최대 흡착 용량(Qmax)은 Sc 0.51 mmol/g, U 0.47 mmol/g, Nd 0.24 mmol/g, Dy 0.23 mmol/g, Y 0.17 mmol/g으로 계산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모의 채광 폐수에서 Sc, Fe, U가 완전히 제거되어 REE의 회수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

9.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gold(III) adsorption onto additively manufactured polyamide adsorbent, AM-N12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합성 다금속 침출 용액에서 제조된 폴리아미드 흡착제 AM-N12가 금(III)을 흡착하는 메커니즘을 연구했습니다.

pH 0 조건이 Au(III) 흡착에 최적임이 밝혀졌으며, 다른 금속 이온(Pt, Pd, Cu, Al, Fe, Pb, Sn, Ni, Zn 등)과의 혼합 용액에서도 금 이온에 대한 선택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흡착 등온선은 Freundlich < Langmuir < Sips 모델 순으로 적합했으며, 단일층 흡착 가능성이 높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또한, 밀도범함수 이론(DFT) 계산 결과, 음이온–음이온 상호작용, 정전기적 인력, 수소 결합이 주요 흡착 메커니즘임이 제안되었습니다.

XPS 분석 결과, Au(III)의 일부는 Au(I)로, 일부는 Au(0)으로 환원되었으며, 이는 금의 환원 반응을 의미합니다. 흡착된 금(III)의 약 50%는 24시간 내 탈착되었고, 0.5 M 티오요소와 1 M 염산 혼합 용액으로 재생이 가능했습니다.

듀얼 컬러 3D 프린팅 파우더 개발 (SnowWhite2 활용)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은 혁신적인 제조 방법을 나타내며, 3차원 CAD(Computer-Aided Design) 모델을 기반으로 객체를 제작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과정은 CAD 모델을 여러 층으로 절단하여 각 층을 물리적 실체로 변환한 뒤, 이전 층과 융합시켜 최종 제품을 완성하는 방식입니다.

198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급속 프로토타이핑 기술이 등장했는데, 여기에는 광조형(SLA),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용융적층모델링(FDM), 적층체 제조(LOM), 그리고 3차원 프린팅이 포함됩니다.

특히 선택적 레이저 소결(SLS) 은 분말 원료를 레이저 빔으로 소결하는 분말 기반 RP(급속 프로토타이핑) 공정으로, 1989년 텍사스 대학의 C. R. Deckard에 의해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이 혁신적 기술은 3차원 CAD 모델에서 파생된 분말을 층층이 소결해 견고한 부품을 직접 제작합니다. 오늘날 SLS는 급속 프로토타이핑뿐 아니라 최종 부품 직접 제조에도 널리 활용되며, 이는 적층 제조(AM)의 개념적 정의에 중요한 전환을 가져왔습니다.

SLS 기술의 장점 중 하나는 정교한 형상을 가진 견고한 부품을 제작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소결되지 않은 분말이 지지체 역할을 하므로 별도의 서포트 구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또한 다양한 소재(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HIPS, 폴리프로필렌, TPU, 폴리에스터 등)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소재 및 복합재 활용

SLS용 복합재는 고융점 분말저융점 분말을 결합하여, 전자는 기계적 강도 및 특성을 강화하고 후자는 비용 절감을 가능케 합니다. 산업·농업·재활용 폐기물로부터 얻은 고융점 분말 활용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이 공정에서는 레이저 방사선으로 저융점 분말을 용융시켜 고융점 분말과 결합·고화시킵니다. 여기에 첨가제가 더해져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예를 들어:

  • 광 안정제 → 산화 방지

  • 윤활제 → 분말층 증착 시 흐름성 개선

  • 커플링제 → 다른 분말 간 결합력 강화

SLS의 한계와 색상 문제

SLS 시스템의 대표적 단점은 색상 균일성입니다. 시작 분말의 색상(흰색, 검정, 회색)에 의해 최종 제품의 색이 결정되며, 다양한 색상 구현이 어렵습니다. 후처리를 통해 색상을 적용할 수 있지만, 표면 전체에 균일한 착색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SnowWhite2를 활용한 새로운 분말 소재가 개발되었습니다. 이 소재는 열 활성화에 의해 특정 부분의 색상/색조 변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표면·내부·부분적 색상 전환이 가능해 디자인 다양성을 확보합니다. 색상 변화는 물체가 상온으로 식은 이후에도 영구적으로 유지되며, 점진적 변화도 가능해 다양한 음영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는 별도의 장비 개조 없이 기존 SLS 장비로 다중 색상 출력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특정 온도에서 발색을 유도하는 첨가제의 적용으로 구현됩니다.

우드 바이오미메틱 소재 적용

또 다른 응용 사례로 목재 기반 복합 분말이 소개됩니다. 이는 목재 폐기물을 활용해 제작된 바이오모방 소재로, SLS 가공 시 실제 목재와 유사한 외관을 가진 아름다운 객체를 만들어냅니다.

특징:

  • 3D 매핑된 원목의 디지털 나뭇결을 전체 부품에 충실히 재현

  • 단순 질감이 아닌 실제 나뭇결 패턴 구현

  • 출력된 부품은 목재처럼 샌딩·스테인·바니시 마감 가능

  • 기존 목재 제품으로는 구현 불가능한 복잡 구조도 생산 가능

정리하면, SnowWhite2는 기존 SLS의 색상 한계를 극복하여 다중 색상 출력, 열 활성화 색상 변화, 목재 바이오미메틱 분말 활용 등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목재 분말 기반 파우더의 저에너지 소결

이 새로운 조성은 인쇄 과정에서 낮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도록 설계되었으며, 전형적인 고분자 소결이 어려워진 구형 산업용 SLS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목재 폐기물에서 유래한 이 파우더 소재는 0% 리프레시 비율로도 적층 제조를 경제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합니다.

SnowWhite²의 가공 능력

SnowWhite²는 파우더 베드 표면을 가열해 전 과정 동안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10640nm 파장의 레이저로 표면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 파우더 베드 온도: 110℃

  • 설정된 스캐닝 파워 및 속도: 26 mJ/mm² 에너지 밀도 달성

레이저 조건에 따른 색상 변화

이 조건에서 파우더 표면이 110℃까지 가열되면, 레이저 스캔 시 **130℃**에 도달하여 목분과 열가소성 재료가 융합해 단일 고체층을 형성합니다.

특정 영역에서 색상 변화를 만들기 위해 에너지 밀도를 40 mJ/mm²까지 높일 수 있습니다.

→ 방법: 레이저 출력을 높이거나 스캔 속도를 낮춤.

40 mJ/mm² 조건에서는 표면 온도가 **160℃**에 도달하며, 이는 분해 온도에는 미치지 않지만 착색제를 갈변시켜 해당 부분을 검은색으로 변하게 만듭니다.

목재 분말은 그대로 결합 상태를 유지합니다.

첨가제와 색상 조절

  • 칼슘 스테아레이트: 파우더 유동성을 향상시켜 층 적층에 기여

  • 말레산 무수물: 리그닌 섬유, 착색제, 열가소성 재료 간 상용성 개선

레이저 에너지 밀도를 26 → 40 mJ/mm²로 점진적으로 조절하면, 파우더의 본래 황토색에서 검정까지 연속적인 색상 변화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파우더 조성 연구 및 시험

목분 기반의 색상 변화 파우더 조성은 SnowWhite²를 이용해 개발되었습니다.

  • 초기: 축소형 파우더 디스트리뷰터 (20×40×40mm) 사용 → 수십 가지 조성을 소량(수 g)만 시험 가능

  • 1일에도 여러 조성을 반복적으로 테스트 가능

이 과정은 연구진이 기계적 특성과 색상 변환 성능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게 했으며, 최적 조성을 찾아낸 뒤 수 kg 단위로 확장했습니다.

실제 적용 및 대량생산

SnowWhite²에 표준 파우더 디스트리뷰터(출력 크기 100×100×100mm)를 장착해 최종 시험을 진행했으며, 다양한 샘플을 출력해 실제 응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 현재 이 파우더는 산업용 장비에서 대량 생산 및 출력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출력 파라미터는 시스템에 따라 다르지만, SLS 프린터별 세부 조정을 위한 기본 프로파일은 이미 준비되어 있습니다.

SnowWhite² 주요 특징 (Main Features)

  • 15분 이내 출력 시작 가능

  • 300g의 파우더만으로도 출력 가능

  • 연구용 오픈 시스템 설계

  • 파우더 디스트리뷰터 교체 가능 (블레이드형, 롤러형, 특수 소형 모듈 지원)

기술 사양 (Technical Specifications)

SnowWhite²

  • 크기: 1500 × 600 × 520 mm

  • 무게: 약 120 kg

  • 출력 용적: 100 × 100 × 100 mm

  • Z 해상도: 50 μm

  • XY 해상도: 100 μm

  • 레이저: CO₂, 14W

  • 스팟 크기: 0.2 mm

  • Z축 속도: 35 mm/h

  • 스캔 속도: 최대 3500 mm/s

  • 챔버 온도: 최대 190℃

  • 연결: Ethernet (Sharebox)

SnowWhite² HT

  • 크기: 1500 × 600 × 520 mm

  • 무게: 약 120 kg

  • 출력 용적: 50 × 50 × 50 mm

  • Z 해상도: 50 μm

  • XY 해상도: 100 μm

  • 레이저: CO₂, 14W

  • 스팟 크기: 0.2 mm

  • Z축 속도: 35 mm/h

  • 스캔 속도: 최대 3500 mm/s

  • 챔버 온도: 최대 350℃

  • 연결: Ethernet (Sharebox)

  • 특징: 질소/아르곤 환경, 오픈 파라미터, 고분자 및 복합재 연구에 최적